본문 바로가기

주간 기록지/UXUI

[ UXUI ] LottieFiles 로티파일 유료화 정책 적용 Paid plan

https://a-kdh.tistory.com/314

 

 

LottieFiles | 지엄한 애니메이션의 역할

최근 디자인 트렌드는 매우 급격하게 변해가는듯 보인다. 많은 트렌드가 물 흐르듯 지나가고 복고풍이 자리잡고 뉴노멀이 생기고, 이미지에서 영상이 만들어 졌다 다시 이미지의 특별함이 살아

a-kdh.tistory.com

 
예전에 LottieFiles 공부를 하면서, 이런 글을 쓴 적이 있다.

Body Mobbin 플러그인을 이용한 인앱에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도구로원래 Airbnb에서 만든 플러그인이라고 들었는데, 어느새 하나의 기업이 되고 점점 더 커져서 피그마에서도 쉽게 만들 수 있게 되거나..
Phase 서비스가 오픈하면서 엄청 쉬워졌다. 


 
- UXUI 디자이너의 새로운 놀이도구: 애니메이션


본인은 AfterEffect 를 이용해 온 터라서, 플로그인을 통해 삽입/배포를 하는데 이게 이게 보통 물건이 아니다. 피그마, Phase, Rive.app 등 더 쉽게 애니메이션을 만들기 위한 도구들이 나와서 엄청 대중화되고 많은 앱들이 이를 애용하고 있긴 한데 왜 좋냐면, 앱에 들어가는 리소스들은 무조건 용량을 줄여야 로딩이나 설치 유도하기에 도움이 된다. 

안 그래도 하드코딩 하는 앱에다가 라이브러리 소스들 집어넣고, 클린코드들 집어넣고 하더라도 점점 커지는 용량은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식은땀이 느껴지게 할 정도이다. 이런 점에서 LottieFiles 을 이용해서 많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저용량, 고함량 정보, 스토리텔링

 
- High VS Low 퀄리티싸움?
개인적으로 그리고, 매우 현실적으로 좀 생각 하자면.. 부드러운 로띠를 앱에서 보여주고 싶다면.. AfterEffect 플러그인을 추천한다. 물론, 빠르고 그래픽 리소스를 재활용하거나 다른 Omni 채널방식을 쓰고 있다면 다른 도구를 더 추천한다.
 

1. 퀄리티보다 스토리라인과 스피드가 중요하다 = 피그마
2. 편하고 쉽게 관리 = PhaseRive.app 
3. 앱의 외부 의존성을 줄여야 한다 = Figma, AfterEffect 
로 정리할 수 있을것 같다.


기록자의 사적의견: 갠적으로는 AfterEffect 플러그인 추천한다.
 

+ 240819 추가

그 사이에.. 로띠 정책의 업데이트가 있었다.

더 정확히는 LottieFiles.com 의 정책.

원문: https://help.lottiefiles.com/hc/en-us/articles/16240626895385-Update-on-Upload-Limits-in-Free-Workspace

이제 계정 당 #10번업로드제한 정책 적용으로 JSON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이후에는 리셋되지 않는다.
 
고로 10번 사용만 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피그마, 에펙 등 모두 적용되어 있다.
운영상의 비용도 있고.. 이해는 되는데.. 확장자 (.lottie) 사용은 오픈소스라서  자유롭게 가능하지만,
잘 쓰던 제작도구가  유료로 바뀌게 되니 ㅠㅠ 당황스럽기도하고.. 슬프기도 하고.. 이해가 되기도 하고...

Phase (https://www.phase.com/ko-KR) 가 아직까지 무료로 쓸 수 있으니 참고하기를 바란다.*(Phase 현재까지는 유료 계획이 없다더군요.)
 

이외에도 다른 대안으로 이런 도구들이 있었습니다. 

    1. https://www.svgator.com/pricing

로띠제작 도구로 로티파일즈와 같은 제작 스튜디오로 볼 수 있는데, 한 달에 3개까지 Export 할 수 있고, 월 20달러로 로띠와 동일하다.

사적의견: 해당 도구를 사용한다면, 차라리 로띠를 사용하는 것이 더 용이하다. 에펙을 이용하는 것이 사용성과 활용면에서 비교할 수 없는 정도. 단, 에펙이 익숙한 사용자의 입장이기 때문에 의견이 다를 수 있다.
  1. https://www.haikuanimator.com/

시스템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하이쿠는 오픈소스로 쓸 수 있다. Github 에서 다운받아서 설치하나, Node, Yarn 사용 등 약간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2025 7월, 로티파일즈를 유료로 쓰다가 종료했다.

이유 1. 오픈소스로 풀려있는 Bodymovin 플러그인이 업데이트를 했는지 어째서인지(?) 작동을 잘 하는걸 확인하게 되었다. 원래 안되서 끙끙 거렸는데.. AESCRIPTS 다운로드링크 (금액 입력된 부분은 기부하는 개념이라서 0원으로 바꿔야 한다.) zxp 설치 프로그램으로 추가해주면 된다.

이유 2. 로티파일즈를 써보면서 서비스 부문과 UX시나리오에서 로티 애니메이션 사용에 한계점이 있는 걸 확인했다.
역시, 좋은 시나리오가 제일 좋다. 필요할 때문 사용하도록 하자.

 

728x90